공부해보잠
Python의 기초 본문
Python의 기본 문법
Python은 문법이 간결하고 직관적이며, 다른 언어(C, Java)보다 코드 작성이 쉽다.
주요 특징과 기본 문법을 정리해보자.
Python 기본 문법
변수의 자료형을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
x = 10 # 정수형 변수
y = 3.14 # 실수형 변수
z = "Hello" # 문자열 변수
- Python에서는 자료형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int, float, str 등)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print("Hello, Python") # 세미콜론 없이 사용 가능
변수에 연속하여 값을 저장할 수 있다.
x, y, z = 10, 20, 30
print(x, y, z) # 출력: 10 20 30
들여쓰기를 이용해 코드 블록을 구분한다.
if True:
print("들여쓰기로 코드 블록을 구분") # 4칸 또는 1탭
문자열은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 모두 사용 가능
str1 = 'Hello'
str2 = "World"
str3 = 'I\'m a Python developer' # 작은 따옴표가 포함된 문자열
Python의 데이터 입출력 함수
input() 함수 - 사용자 입력 받기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print("입력한 이름:", name)
- input()을 사용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print() 함수 - 데이터 출력
print("Hello, Python!") # 기본 출력
print("x:", x, "y:", y) # 여러 값 출력
print(f"x의 값은 {x}입니다.") # f-string을 이용한 출력
출력할 값이 여러 개일 경우, 콤마(,)로 구분하여 출력 가능하다.
range() 함수 - 숫자 범위 생성
range()는 연속된 숫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함수
for i in range(5): # 0부터 4까지 (0, 1, 2, 3, 4)
print(i)
다양한 형태의 range() 사용법
print(list(range(5))) # [0, 1, 2, 3, 4] (0부터 4까지)
print(list(range(2, 10))) # [2, 3, 4, 5, 6, 7, 8, 9] (2부터 9까지)
print(list(range(1, 10, 2))) # [1, 3, 5, 7, 9] (1부터 9까지, 2씩 증가)
슬라이스(Slice) - 문자열, 리스트에서 특정 부분을 추출
슬라이스 기본 문법
리스트[시작:끝:간격]
리스트에서 특정 부분 추출
numbers = [0, 1, 2, 3, 4, 5, 6, 7, 8, 9]
print(numbers[2:6]) # [2, 3, 4, 5]
print(numbers[:4]) # [0, 1, 2, 3] (처음부터 4번째까지)
print(numbers[5:]) # [5, 6, 7, 8, 9] (5번째부터 끝까지)
print(numbers[::2]) # [0, 2, 4, 6, 8] (2칸씩 건너뜀)
문자열에서 슬라이스 적용
text = "Python Programming"
print(text[:6]) # "Python"
print(text[7:]) # "Programming"
print(text[::-1]) # 문자열 뒤집기 "gnimmargorP nohtyP"
Python 기본 문법 요약
개념 | 설명 |
변수 선언 | 자료형 선언 없이 변수 생성 (x = 10, y = "Hello") |
세미콜론 없음 | 문장 끝에 ; 필요 없음 |
들여쓰기 | 블록을 {} 대신 들여쓰기로 구분 |
문자열 |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 모두 사용 가능 |
input() 함수 | 사용자 입력 받기 |
print() 함수 | 값 출력 (print(x, y)) |
range() 함수 | 연속된 숫자 리스트 생성 (range(5) → 0~4) |
슬라이스(Slice) | 리스트, 문자열에서 특정 부분 추출 (text[1:4]) |
Python은 문법이 간결하고 직관적이므로, 위 개념들을 익히면 쉽게 활용할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