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처리 산업기사(시나공) (41)
공부해보잠

요구사항 분석의 개요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단계로,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이를 명확히 문서화(명세화)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특징 :사용자 요구 타당성 조사: 요구사항의 현실성, 비용 및 일정 제약 검토.정확한 요구 추출: 사용자 요구를 기반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해결 방식을 결정.문서화: 설계 단계에 필요한 기본 자료로 사용되므로, 요구사항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분석 및 문서화해야 함.전문가 수행: 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분석가에 의해 수행되며, 이 작업 단계를 요구사항 분석 단계라고 함.분석 도구 활용: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자료흐름도(DFD), 자료사전(DD), 소단위 명세서(Mini-Spec), 개체관계도(ERD), 상태전이도(Stat..

요구사항의 개념 및 특징요구사항의 개념소프트웨어가 해결해야 할 문제와 제공해야 할 서비스, 그리고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제약조건 등을 기술한 설명입니다.개발 대상 소프트웨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와 어떤 제약사항을 충족해야 하는지를 정의.요구사항의 특징 이해관계자 간 의사소통요구사항은 소프트웨어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으로, 개발자, 고객, 사용자 등 이해관계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기반 자료 제공요구사항은 이후 설계, 구현, 테스트 등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의 모든 단계의 기반이 됩니다.목표 및 계획 수립정확하게 정의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발 목표와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품질에 직접적 영향잘 정의된 요구사항은 소프트웨어의 품질, 유지보수성, 사용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XP(eXterme Programming)수시로 발생하는 고객의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고객의 참여와 개발 과정의 반복을 극대화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특징:XP는 짧고 반복적인 개발 주기, 단순한 설계,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릴리즈의 기간을 짧게 반복하면서 고객의 요구사항 반영에 대한 가시성을 높입니다.릴리즈 테스트마다 고객이 직접 참여해 요구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비교적 소규모 인원의 개발 프로젝트에 효과적입니다.부가설명:릴리즈: 일정 기간 동안 완성된 결과물을 주기적으로 제공해 고객이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가시성: 개발 진행 상황과 결과물이 고객에게 명확히 보여지도록 하여 신뢰를 높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개요소프트웨어 개발, 유지보수 등에서 필요한 작업 수행 방법과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기법 및 도구를 표준화한 것. 목적:소프트웨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킴.프로젝트의 효율적 관리와 성공 확률을 높임. 종류 :구조적 방법론, 정보공학 방법론, 객체지향 방법론, 컴포넌트 기반(CBD)방법론, 애자일(Agile)방법론, 제품 계열 방법론 특징:표준화된 과정을 통해 개발 진행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효율적이고 일관된 개발 환경을 조성.프로젝트의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방법론을 선택하여 적용.구조적 방법론 (Structured Methodology) 정형화된 분석 절차에 따라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문서화하는 처리(Proces..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SDLC)소프트웨어 개발, 운영, 유지보수 등의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정의한 것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기반이 되는 개념입니다. 특징단계별 구분: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은 단계별로 나뉘며, 각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주요 활동과 결과물(산출물)이 명확히 정의됩니다.수명 주기: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SDLC)는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라고도 불립니다.다양한 표현 방식: 생명 주기를 표현하는 방식을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형, 소프트웨어 공학 패러다임이라고 합니다.유연한 적용 가능성: 개발자는 문제 유형, 프로젝트 요구사항, 개발 방법에 따라 특정 모형을 선택하거나,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Protocol) 특징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간의 데이터 통신 시 필요한 장비 및 처리 방법 등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규정 OSI 7계층은 1~3계층을 하위 계층, 4~7계층을 상위계층이라고 한다하위 계층 : 물리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망 계층)상위 계층 : 전송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하위 계층 (1~3계층) - 전송 중심데이터의 물리적 전송과 네트워크 연결.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연결과 관련된 작업 수행.실제 신호 전송, 프레임 처리, 경로 설정 등을 담당...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의 정의서로 다른 기기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표준화된 통신 규약 입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구문(Syntax)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방식, 신호 레벨 등을 정의.의미(Semantics)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 및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정의.시간(Timing)통신 속도, 메시지 순서 제어 등 데이터 전송 타이밍에 관한 규정. 프로토콜의 전송 방식문자 전송 방식- 전송 제어 문자(SOH, STX, ETX, EOT 등)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표시.- 단순한 데이터 전송에 적합.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바이트 방식- 데이터 프레임의 ..

정보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구분구성 요소역할 및 설명예시정보통신 시스템전체 시스템데이터를 생성, 처리, 전송, 저장, 출력하여 사용자 간 통신을 지원.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클라우드 시스템데이터 전송계단말 장치 (DTE)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키보드, 프린터 데이터 전송 회선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물리적 또는 무선 매체.광섬유, 동축 케이블, Wi-Fi 통신 제어 장치 (CCU)데이터 송수신 과정 제어 및 에러 검출/수정.라우터, 스위치 신호 변환 장치 (DCE)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신호로 변환 및 복원.모뎀, 네트워크 어댑터데이터 처리계컴퓨터데이터 처리의 중심 장치.데스크탑, 서버 하드웨어데이터를 입력, 처리, 저장, 출력하는 물리적 장치.CPU, RAM, SSD, 네트워..

다중 처리기((Multi-Processor)의 개요하나의 시스템에 여러 개의 처리기(프로세서)를 두어 하나의 작업을 각 처리기에게 할당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 특징 :다중 처리기는 프로세서간 상호작용이 밀접한 강결합 시스템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여 실행 시간이 감소되고 전체 효율을 향상일반적으로 다중 처리기라 하면 프로세서 간 상호작용이 밀접한 강결합 시스템인 공유-기억장치 시스템을 의미다중 처리기의 운영체제 구조는 Master/Slave 처리기, 분리 실행 처리기, 대칭적 처리기로 분류Master/ Slave(주/종) 처리기하나의 프로세서를 Master(주 프로세서)로 지정하고, 나머지들은 Slave(종 프로세서)로 지정하는 구조주 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다운주 프로세서만 입 출력을..
파일시스템파일의 저장, 액세스, 공유, 보호 등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파일을 총괄하는 파일 관리 기술입니다. 파일 시스템의 기능 및 특징사용자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공할 수 있도록 함적절한 제어 방식을 통해 타인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함파일 공유를 위해서 판독만 허용, 기록만 허용, 수행만 허용 또는 이를 여러 향태로 조합한 것 등 여러 종류의 액세스 제어 방법 제공사용자가 적합한 구조로 파일을 구성불의의 사태를 대비하여 파일의 백업과 복구 등의 기능을 제공사용자가 물리적 장치 이름 대신에 기호화된 이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사용자가 파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일의 논리적 상태(디렉터리)를 보여주어야 함파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